-
몫연극영화과에 대해 말하다 2013. 7. 4. 20:08
몫
이란 단어가 있다.
이 포스팅에는 부제가 있다.
몫이 제목이고
부제는
'자신에 대한 기다림' 이다.
우리는 기다림의 의미를 잘 모른다.
기다림은
현대인들이 가장 훈련이 덜 된 영역이며
가장 생소한 부분이며
가장 두려워하는 면이기도 하다.
기다림을
우리는
두려워 한다.
기다림에 익숙치 않고
기다림이 불편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성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특히
예술에서라면 더욱
그 어떤 천재에게 물어보더라도
동일한 대답이 돌아올 것이다.
성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우리가 그토록 불편해하는
바로 그 '기다림'이다.
기다림은 다른 말로 하면
나의 몫을 채워간다는 말이다.
인생에는
각자의 몫이 있다.
가족관계속의 나의 몫이 있다.
때로는
부당한 가족관계 속의 부담과 조건들이 있을 것이다.
아니
없을 수가 없을 것이다.
가정이 불행의 씨앗인 경우가 너무도 많기 때문이다.
돌아보라.
가정 안에서
가족 안에서
너를 기다리게 하고
너를 불편하게 하는
그러나 네가 쉽게 바꿀 수 없고
견뎌야만하는 어떤 요소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것이 너의
가정 안에서의 '몫'이다.
가정의 몫
사회의 몫
입시의 몫
돈의 몫
그리고 예술의 몫...
몫은 반드시
채워야
하는
영역이다.
조급하게 월반해서 졸업할수도 없고
늦출수도 없는
필연적으로 직면해야만하는
삶의 어떤 조건이
바로 몫인 것이다.
난 성공한 사람은 아니지만
글을 잘쓸 수 있는 훈련은 받은 사람이다.
엉터리겠지만
그래도 내 말을 들어준다면
네게 꼭 말해주고 싶다.
네가 성공하고 싶다면
네 '몫'을 잘 견뎌야 한다고.
네게 주어진 '몫'을 잘 견디는 사람이
곧
성공하는 사람이다.
고등학교 때 공부 잘하는 학생의 특징을 한마디로 축약하면
그 놈들은
자기에게 주어진 학생의 '몫'을 충실하게 채우는 경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몫을 채우면
그 모든 채움이 다
우리 '몫'이 된다.
급여를 나눌 때 내 '몫'을 받는 것처럼
삶은
우리에게
견딘 만큼의 '몫'을
나눠준다.
몫은 견뎌서 얻는 것이다.
네게 주어진 몫이 무엇인가?
어떤 노력으로도 바꿀 수 없고
월반할수도 없고
늦출수도 없는
삶의 많은 조건과 이유들....
그 모두가
너의 몫이다.
오직
견디는 수밖에 없다.
몫은
채워서
얻는 것이다.
가정의 몫
사회의 몫
상처의 몫
한계의 몫
자의식의 몫
학생의 몫
불합격의 몫
합격의 몫
부모의 몫
실패의 몫
성공의 몫
그리고...
입시의 몫
예술가의 몫...
약속한다.
몫을 채우면
그건 다
네 몫이 되리라는 것을...
그런 몫을 많이 챙긴 사람을 한마디로 우리는
성공한 사람
이라고
부른다.
성공의 몫을 채우자.
예술의 몫도.
(한예종 특전, 한국예술종학학교 영상원 특별전형, 한예종자기소개서, 한예종지정희곡, 지정희곡, 영상원, 연극원, 여름방학 한예종 특별반, 여름방학 면접,수시 특별수업)
http://blog.naver.com/lesson4karts
터놓고 연극영화와는 차별화된 보다 직접적인 입시분석, 및 학원홍보를 위한 강력한 컨텐츠로 꾸며가는 새로운 블로그가 시작되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부탁드립니다.
터놓고 연극영화는 계속 공익적으로 나가고, 새로 만든 블로그는 의도적으로 입시위주로 화끈하게 끌고 가 보겠습니다 !! 2014 한예종 최다합격의 기적을 이뤄갈 것입니다 !!http://www.lesson4karts.com 공식 홈페이지도 있습니다.
'연극영화과에 대해 말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 189733b (4) 2013.07.13 느린 세계 (13) 2013.07.04 천진한 낙관주의 (한예종 특전, 한국예술종학학교 영상원 특별전형, 한예종자기소개서, 한예종지정희곡, 지정희곡, 영상원, 연극원) (2) 2013.07.02 계속 계속 하는 놈 (한예종연극원, 연극학원, 극작, 연출, 방영, 예경) (0) 2013.06.30 등대가 아닌 거울로서의 예술 (한예종,한국예술종합학교,연기학원,영화학원,강남영화학원,영화과,극작과,연출과) (2) 2013.06.29